■ 진행 : 안보라 앵커 <br />■ 출연 : 유승훈 서울과기대 미래에너지융합학과 교수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인용 시 [YTN 뉴스라이더]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이렇게 난방비가 오른 이유는 무엇인지, 대책은 정말 없는 건지 서울과학기술대학 미래에너지융합학과 유승훈 교수님 연결해서 더 자세한 이야기 들어보겠습니다. 교수님 나와 계시죠? <br /> <br />[유승훈] <br />안녕하십니까? <br /> <br /> <br />안녕하십니까? 안녕하다는 말씀을 여쭙기가 조심스럽게 교수님도 난방비 고지서 받으셨나요? <br /> <br />[유승훈] <br />받았습니다. 11월에 비해서 12월에 한 2.5배 정도 더 많이 썼고요. 저희 집은 30만 원 정도 12월 난방비가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저희 집도 30만 원이 넘게 나와서 같이 충격 속에 휩싸인 마음으로 얘기를 좀 나눠보도록 하겠습니다. 말씀 들으셨겠지만 일단 서민들, 시민들의 경우에는 난방비 폭탄이다, 이런 하소연을 하고 계세요. <br /> <br />전문가시니까 이 요금 수준이 적정한 건지 아니면 예고용에 불과한 건지 궁금합니다. 어떻게 보고 계세요? <br /> <br />[유승훈] <br />아쉽지만 뒤에 말씀하신 것에 가까운데요. 현재 국제 천연가스 가격이 재작년에 비해서 작년에 많이 뛰었습니다. 9월의 경우에는 거의 35배 정도 올랐고요. 이렇게 해서 1년 평균을 내게 되면 3~5배 정도 국제천연가스 가격이 오른 상황이라서 선진국들을 보게 되면 독일은 도시가스요금을 한 8배 정도 올렸고요. 가까운 일본은 2배로 올렸습니다. 그런데 반면에 우리는 작년에 38% 정도 올랐기 때문에 앞으로도 계속해서 더 올려야지만 도시가스 공급이 끊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계속 공급될 수 있는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예고편에 불과하다는 말씀이 참 가슴이 아프네요. 벌써 예고편부터 매운맛인데 앞으로 마라맛이 기다리고 있다, 이런 지적을 해 주신 것 같고. 가스공사의 얘기를 좀 들어보면 말씀하신 것처럼 국제에너지 가격이 폭등을 했기 때문에 가스공사의 누적 손실이 너무 커져서 불가피하게 요금을 올릴 수밖에 없었다라고 설명을 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그간 조금씩, 조금씩 올렸는데 이번에 체감폭이 굉장히 커요. 어떤 이유 때문입니까? <br /> <br />[유승훈] <br />작년에 4차례에 걸쳐서 요금을 조정했습니다. 한꺼번에 올렸던 건 아니고요. 다만 도시가스가 갖고 있는 특성이 봄이나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30126091751796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